스파르타 게임개발종합반(Unity)/TIL - 본캠프 매일 공부 기록

2024.04.15 TIL - 팀 Notion 기록, GitHub, Unity Attribute

테크러너 2024. 4. 15.

팀 노션 기록

팀 노션 일부 사진

노션을 통해 팀원들과 프로젝트 기획, 협업 약속, 하루 계획서 등을 기록했습니다.

협업 시작전 어떤 것들을 정하고 시작하는지 가이드라인이 있어서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팀 노션 기록을 하나하나 채워나가면서 노션 사용법도 익숙해져갔습니다.

 

 

GitHub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협업을 위해 GitHub 협업툴로 레포지토리를 생성했습니다.

레포지토리 링크▼

https://github.com/PalPalHaJo/PalPalHaJ

 

깃허브로 코드를 관리하고 협업을 진행했습니다.

팀원 대부분이 깃허브를 처음 사용하여서 주의사항이나 각종 충돌들을 겪어서 하루가 빨리 지나갔습니다.

그러다보니 어떤분은 열심히 만든 작업물들이 날라가기도 했고, 또 미안해하는 분도 있었습니다.

그래도 서로 탓하지 않고 이해하며 다시 작업을 이어가는 모습들을 보이셔서 팀장으로써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깃허브 데스크탑으로 충돌을 해결하기도 하고, 깃허브 인터넷 사이트에서 해결하기도 했는데 아쉽게도 사진이 없네요..

다음에는 기록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ㅠㅠ!

 

많은 충돌들을 겪다보니 저희끼리 깃허브 사용 규칙도 정하기도 했어요~

  • Hierarchy창 작업은 프리팹으로 만들고, 저장시 창에 뒀던 오브젝트 삭제하기
  • 풀 리퀘스트 요청한 사람이 병합하기
  • 마무리 회고때 코드 병합 버그가 있을 때는 푸쉬하지 않기
  • 충돌났을 때 다같이 화면보면서 수정하기
  • 푸쉬하기 전에 게임 플레이 눌러보고 오류있는지 확인하기
  • 본인 작업사항 모두 머지 완료 후 main 받아오기
  • 커밋 → 푸쉬 → 머지 → 동기화 → main 받아오기

오늘만해도 이만큼이나 정했답니다..!

그래도 충돌을 많이 겪고 나니까 다들 점점 주의하면서 작업하는 것 같습니다.

 

 

Unity Attribute

    [Tooltip("카드 프리팹")]
    public GameObject card;         // 카드 프리팹
    [Tooltip("생성할 카드의 총수량, 4배수만 가능")]
    [SerializeField] int totalCardCnt = 16;   // 총 카드 수량
    [Tooltip("카드 간격")]
    [SerializeField] float interval = 1.2f;   // 카드 간격
    [Tooltip("카드 배치 시작 X 좌표")]
    [SerializeField] float startX = -1.8f;    // 시작 x좌표
    [Tooltip("카드 배치 시작 Y 좌표")]
    [SerializeField] float startY = -1.9f;    // 시작 y좌표

카드의 총수량은 4배수만 설정하도록 안내문구를 넣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관련 기능을 찾던 중 Tooltip 이라는 기능을 알게 되어서 사용해봤습니다.

Tooltip 속성을 활용하여 인스펙터창에서 해당 변수의 설명을 적을 수 있었습니다.

다른 속성들도 따로 찾아보며 블로그에 기록해두었습니다.

 

Unity Attribute 기록한 링크▼

2024.04.15 - [Unity/공통] - [Unity] inspector 정리하기 - Unity Attribute

 

 

오늘의 회고

저희 팀은 마무리 회고 시간깃허브 최종 병합 + 오늘 한 일 + 내일 할 일 등을 각자 말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이후에 제가 팀원들에게 회고록을 쓰자고 제안하였는데 TIL때 따로 안적어도 되고 좋네요ㅎㅎ(자화자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