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전에!
스마트폰에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어야합니다.
활성화는 아래 게시글을 따라해주세요▼
2024.04.10 - [IT 잡지식] - 스마트폰 개발자 옵션 활성화하기(안드로이드, 갤럭시)
CMD창에서 ADB있는 곳으로 이동
안드로이드의 무선연결을 위해서는 adb가 필요합니다.
ADB(Android Debug Bridge)의 자세한 내용은 기술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우선 adb가 있는 장소로 가야하니까 SDK가 있는 폴더로 갑시다.
Unity → Edit → Preferences → External Tools 클릭
SDK가 있는 경로를 복사합니다.
'내폴더' 열어서 아무 주소창에 아까 복사해둔 SDK 경로를 붙여넣어서 이동합니다.
SDK가 있는 폴더에 오셨다면 주소창에 'cmd'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그럼 이렇게 바로 SDK 폴더가 있는 주소로 cmd창이 열리게 됩니다.
dir
입력합니다.
dir은 해당 주소에 어떤 디렉토리들이 있는지 알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제 'platform-tools'로 이동할 것입니다. 여기에 adb가 있습니다.
cd platform-tools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cd는 이동한다는 명령어입니다.
platform-tools로 들어왔다면
dir
또 입력해서 'adb.exe'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cmd창 끄지마시고 잠시 두세요!
스마트폰 무선 디버깅/페어링 설정하기
스마트폰 설정 → 개발자 옵션 → '무선 디버깅' 활성화
'페어링 코드로 기기 페어링' 클릭
위의 페어링 코드랑 IP주소로 연결해보겠습니다.
아까 cmd창에서 platform-tools까지 왔었죠? 이 상태에서 adb를 사용해보겠습니다.
adb pair ipaddr:port
입력해주시고 엔터키 누르시면 '페어링 코드'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페어링 코드까지 입력하고 엔터키 누르시면 페어링 성공!
cmd창 닫지마세요~!
그러면 이렇게 페어링된 기기에 제 컴퓨터 이름이 표시됩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무선 연결하기
페어링은 됐으니까 이제 연결을 해봅시다.
아까 페어링에 썼던 포트번호랑 다른 IP주소가 있는데요. 이 IP주소로 연결할 것입니다.
아까 cmd창 안 닫으셨죠? 이번에는
adb connect ipaddr:port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연결 성공!
연결한 디바이스로 유니티 빌드하기
유니티로 다시 돌아와서 Refesh버튼 클릭하고 디바이스 목록을 보면 제 디바이스가 보이네요~
디바이스 클릭하고 빌드해주세요.
혹시라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Keystore 패스워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Keystore 패스워드 입력하는 법▼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 → Publishing Settings
Project Keystore, Project Key의 패스워드를 모두 입력해주세요.
무선디버깅 해제하기
무선디버깅이 다 끝나고 나면 꼭 해제 해주셔야합니다!
먼저 PC 연결 해제부터 합시다.
adb shell
입력하시면
e1s: / $
이렇게 뜨는데 그 옆에
exit
입력해주시면 PC의 adb는 종료됩니다.
아무런 반응이 없어도 당황하지 마세요. 종료된겁니다~
이제 스마트폰의 무선디버깅도 사용 중지합시다.
이런 알림이 떠있을텐데 눌러서 들어가보면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집니다.
여기에서 '무선 디버깅' 끄기 해주세요!
댓글